- 죽도록 번역하는 사람들의 모임
- Collins Cobuild
- Longman
- Kaist Corpus
- 세종 Corpus
- 능률영어
- Lingoes Project
- Wikipedia
- Wordweb
- WordNet
- 한국 북코치 연구소
- 아마존닷컴
- 구 블로그
- 채형복 교수님과 함께 하는 싸이월드
- 예스24
- 교보문고
- 증산정보도서관
- 야후 영어사전
- grammar
- The Garden of Phrases
- The Phrase Finder
- Visual Thesauraurus
- Word Detective
- 구글리더
- 온라인사전모음
- 에릭양 에이전시
- 한겨레신문
- 경향신문
- 스포넷
- Thesaurus
- 트위터 번역가 모임 #번역한당_
- 번역가 방영호의 트위터
- 번역가 방영호의 서재
- 도서출판 예문당 - 함께 만드는 책 놀이터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멍청함
- 김신지
- 퍼스널마케팅
- 사회적 규칙
- 한글의 탄생
- 똑똑함
- 작가의삶
- 번역
- 방영호
- 방문판매법
- 마케팅
- 안정효
- 번역가
- msi#4k#게이밍#모니터
- 전북함
- 왜 똑똑한 사람이 멍청한 짓을 할까
- 경영전략
- 번역가의서재
- 필립 코틀러
- 헛똑똑이
- 로버트 스턴버그
- 바운더리#김현#뇌과학#인지심리학#휴식#책스타그램#북스타그램#번역가의서재#책소개
- 노마 히데키
- 제휴 마케팅
- Q-English
- 카오틱스
- 시간이있었으면좋겠다
- 윤수
- 관계의 본심
- 브랜드
- Today
- Total
목록경제경영 마케팅 (16)
방작의 지식창고
시대와 트렌드에 부합하는 경영전략의 중요성은 크라이슬러의 파산에 이어 몰락의 길로 들어선 지엠을 보면 느끼게 된다. 필립 코틀러의 의견대로 비용 절감에 치우친 근시안적인 경영 패러다임을 가지고 협력업체들을 과소평가해서는 지금과 같은 예측 불가능한 격동기를 헤쳐나가기 어렵다. 다기능 팀 중심의 프로세스를 바탕으로 직원들을 비롯한 모든 이해관계자들을 조직의 일원으로서 여기고 협력해 나가야 혼돈의 경제기에 살아남을 수 있음을 크라이슬러와 지엠의 예를 통해 엿볼 수 있다. 관련기사 한겨레 2009년 5월 8일 경영 교과서’ 지엠의 몰락 [뉴스 쏙] 이원재 기자 » ‘경영 교과서’ 지엠의 몰락 / 그래픽 홍종길 기자 jonggeel@hani.co.kr #장면 1. 영업부 김 대리는 늘 불만이다. 불경기인 요즘, ..
1995년 개정 방문판매법이 만들어져 본격적인 네트워크 마케팅 시장이 시작된 지도 벌써 10년이 흘렀다.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고 했듯 네트워크 마케팅 시장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제도의 변화부터 기업의 사업문화에 이르기까지, 크고 작은 변화들이 때로는 나라를 들썩이는 이슈로, 또 서민들의 마음을 울리는 아픔을 가져오기도 했다. 그러면서도 과거를 되돌아보면 나름대로 미래를 예상했던 것들이 모두 맞아떨어지고 있기도 했다. 1996년 어느 네트워크 마케팅 업체의 세미나실. 강사가 열띤 강의를 하고 있다. “자! 여러분 지금의 유통구조를 보십시오. 생산에서부터 총판, 도매, 소매에 이르기까지 얼마나 많은 과정이 있습니까? 이렇게 불필요한 유통과정들 때문에 소비자에게 제품이 들어오기까지 많은 돈이 붙는 것입..
네트워크시대-프로슈머 전략 프로슈머(Prosumer)란, 공급자, 생산자를 뜻하는 provider, producer의 pro와 소비자를 뜻하는 consumer의 sumer를 조합하여 만들어진 말이다. 말 그대로 공급자와 소비자가 각각 수행하던 기능을 융합하여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사람을 말한다. 프로슈머라는 단어는 앨빈 토플러가 1970년에 쓴 미래 충격이라는 책에서 처음 사용된 것이다. 토플러는 그 책에서 언젠가는 공급자와 소비자의 경계가 흐려지거나 나아가 무너질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그리하여 모든 소비자는 자신이 소비할 제품이나 서비스의 생산 과정 자체에 참여하게 될 것이라고 썼다. 토플러의 예언은 생산의 자동화가 상당히 이루어진 이후에도 줄곧 예언으로 남아있었다. 그러나 커뮤니케이션이 비약적으로 증가..
Point Volum의 마술 가격대비 PC가 최고 90%까지 올라가 회원수당 38.5%지급규정 있으나 마나 어떤 다단계 회사에 가던지 간에 PV(Point Volume)가 있다. 각 제품마다 점수를 매겨 이를 기준으로 사업자들에게 수당을 지급하기 위함이다. 요즘 대기업이 운영하는 쇼핑몰이나 주유소, 신용카드사에서도 이 포인트 제도를 즐겨 사용하고 있다. 포인트 지급률이 높은 제품의 소비를 촉진시키고, 자신들의 브랜드 제품의 판매를 원활히 하기 위해서다. 실제 (주)SK가 ‘Ok Cashbag’이라는 포인트 적립 제도를 통해 벌어들인 수익금이 수천억에 달한다는 사실만으로도 최근 포인트 제도가 얼마만큼 소비자들에게 유용한 마케팅인지를 입증한다. 하지만 다단계는 포인트를 진급의 기회와 현금 수당 지급으로 소비..
진로의 성장 소주 하면 연상될 만큼 서민적 체취가 강한 진로는 창업 80년 만에 법정관리로 전락하는 비운을 맞았다. 소주를 주력 사업으로 해온 덕에 외형보다 훨씬 인지도가 높았던 진로가 기업으로써 처음 뿌리를 내린 것은 1920년대였다. 1924년 장진호 전 회장의 부친인 고 장학엽씨가 평남 용강에서 진천양조상회를 연 것이 현재 진로의 모태가 되었고, 그 후 진로는 소주사업에 전념하며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했다. 서광주조․진로주조 등으로 이름을 바꾸며 75년에 사명을 현재의 (주)진로로 바꿨다. 소주사업에 전념하는 과정에서 삼학소주등과 사운을 건 경쟁을 벌이기도 했지만, 그 이후부턴 철옹성을 구축, 비교적 손쉬운 장사를 해왔다. 실제로 진로소주는 80년대 후반까지 현금을 줘야 사는 말 그대로 ‘배짱장사’여..
특집: 적과의 동침, 제휴마케팅 | 1. 파트너십 자원을 활용한 제휴마케팅 송현수 / 포시엠넷 대표이사 및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정보경영학과 교수 fourcm1@naver.com 기업들은 마케팅에 매료되어 있고, 또 익숙해 있으며, 때로는 그 성과나 결과에 대해서 매우 두려워하기도 한다. 마케팅이라는 도구는 때로는 스릴과 참신함, 감동, 엉뚱함이기도 하고,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어떤 부드러움, 냉혹함, 순간속도기도하며, 첨단 디지털로 무장한 얼리어답터(Early Adopter)로 우리들 일상에 감성으로 깊이 파고드는 카멜레온이기도 하다. 여기에 제휴마케팅(Affiliate Marketing)이 첨가된다면 마치 비빔밥에 참기름을 넣은 것 같은 윤기와 새로운 맛이 더해진다. 가뭄에 강한 선인장이면서 아프..
제휴 마케팅과 다단계 마케팅의 공통점과 차이점 PR 전문가들이 공통적으로 말하는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은 사람들의 인식을 바꾸는 일이라고 한다. 특히 그 인식이 부정적인 경험에 의해 체득된 것이라면 더욱 더 바꾸기 어려워 진다. 최근 난 한 독자로부터 다음과 같은 e메일을 받았다. 친애하는 짐에게 최근 XX라는 회사가 운영하는 온라인 제휴 프로그램에 가입을 했습니다. 전 그 제휴 프로그램이란 것이 정말 사람을 이렇게 고통스럽게 만드는 줄은 꿈에도 몰랐습니다. 처음에 그 사람들이 시키는 대로 여러 개의 제휴 프로그램에 돈을 주고 가입했습니다. 이 제휴 프로그램들에 가입을 해 두면 제 사이트의 매출은 저절로 늘어날 거라고 하더군요. 근데 매출이 늘기는커녕, 오히려 제휴를 맺은 다른 마케터들이 저에게 물건..
제휴 마케팅은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는 믿음에서 시작됐다. 그러나 이 믿음은 작년부터 크게 흔들리기 시작했다. 제휴 프로그램이 현실에 적응하기 시작하면서, 인터넷 마케터들은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깨닫기 시작했다. 좋은 제휴 사이트들은 직접 찾아야 발견할 수 있다. 제휴 사이트를 선별하지 않으면 쓸데없는 고객들로 골치를 썩게 된다. 우수 고객을 얻으려면, 우수 고객을 발견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제휴 프로그램을 대량 마케팅 방식으로 운영하다간 쪽박 차기 십상이다. 제휴광고를 온라인 이곳 저곳에 덕지덕지 붙여 놓는 식으로는 아무 것도 되질 않는다. 한 마디로, 양보단 질이라는 것이다. 이는 제휴 프로그램의 한 시대를 풍미했던 넥스트카드(NextCard)가 증명해 주고 있다. 제휴 프로그램으로 흥하..
제휴마케팅의 모든 것 목 차 1. 제휴마케팅이란? 제휴마케팅(Affiliate Marketing) ------------------------------ 2 p 머천트(Merchant) ---------------------------------------- 3 p 어필리에이트(Affiliate) ------------------------------------ 4 p 제휴마케팅 중개서비스 ------------------------------------ 5~6 p 2. 제휴마케팅 활용사례 분석 추천사이트 메뉴로 부가수익 창출 –--------------------------- 7 p 파트너샵으로 신뢰도도 높이고 부가수익도 창출한다 -------------- 8 p 작지만 매운 맛 보여주는 링크포털 사이..
제휴 마케팅이란? 제휴 마케팅의 시초, 아마존 ---------------------------- 최근 각광받고 있는 제휴 마케팅은 세계 최대의 인터넷 서점인 아마존이 1996년 7월에 "Associates Program”이란 제휴 프로그램을 도입하면서 대중에게 처음 알려졌다. 현재는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제휴업체 수가 약 450,000 개에 이른다. 제휴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우선 특정 웹 사이트 A의 운영자가 아마존(또는 다른 제휴 프로그램)의 제휴 프로그램에 가입한다. 그 다음 웹 사이트 A에 아마존으로 연결되는 여러 링크, 배너, 상품을 올린다. 이런 링크, 배너등을 통해 아마존 홈페이지를 방문하거나, 아마존의 책이나 상품을 구매할 경우 웹 사이트 A의 운영자는 판매수익의 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