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죽도록 번역하는 사람들의 모임
- Collins Cobuild
- Longman
- Kaist Corpus
- 세종 Corpus
- 능률영어
- Lingoes Project
- Wikipedia
- Wordweb
- WordNet
- 한국 북코치 연구소
- 아마존닷컴
- 구 블로그
- 채형복 교수님과 함께 하는 싸이월드
- 예스24
- 교보문고
- 증산정보도서관
- 야후 영어사전
- grammar
- The Garden of Phrases
- The Phrase Finder
- Visual Thesauraurus
- Word Detective
- 구글리더
- 온라인사전모음
- 에릭양 에이전시
- 한겨레신문
- 경향신문
- 스포넷
- Thesaurus
- 트위터 번역가 모임 #번역한당_
- 번역가 방영호의 트위터
- 번역가 방영호의 서재
- 도서출판 예문당 - 함께 만드는 책 놀이터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카오틱스
- 제휴 마케팅
- Q-English
- 마케팅
- 김신지
- 경영전략
- 윤수
- 시간이있었으면좋겠다
- 퍼스널마케팅
- 안정효
- 필립 코틀러
- msi#4k#게이밍#모니터
- 멍청함
- 번역가
- 관계의 본심
- 전북함
- 헛똑똑이
- 한글의 탄생
- 방영호
- 왜 똑똑한 사람이 멍청한 짓을 할까
- 노마 히데키
- 번역가의서재
- 방문판매법
- 로버트 스턴버그
- 사회적 규칙
- 똑똑함
- 바운더리#김현#뇌과학#인지심리학#휴식#책스타그램#북스타그램#번역가의서재#책소개
- 작가의삶
- 브랜드
- 번역
- Today
- Total
목록번역의 세계/세상에 대한 지식 (3)
방작의 지식창고
출처 : http://blog.naver.com/molykyh?Redirect=Log&logNo=100019742091 출처: 한겨레의 자유토론방, 동우의 홈페이지, http://www.dongailbo.co.kr 등을 종합함...^^; (moly) 대한민국군은 정보감시태세의 "워치콘"과 방어준비태세인 "데프콘"나뉘어져 있으며, 이 둘의 직접적인 관계는 없으나, 워치콘 발령시 위기관리 차원에서 데프콘을 검토하게 된다. 데프콘3~4에서 데프콘2으로 격상되면 한국군에 대한 작전통제권은 한미연합사령부(CFC)로 넘어간다. 동시에 한국의 대통령은 군령권을 수행할수 없고 단지 군정권만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전시에는 군령권이 군정권에 우선함으로 대통령과 청와대는 미군의 군수담당관과 부서로 전락하게 된다. 한반도에 ..
20세기 초 등장한 ‘집단 지성’ 개념은 원래 곤충학에서 나왔다. 각 개체는 지능이 없지만 전체 무리는 고도의 지능체계를 형성하는 개미 등의 군집을 설명하는 데 쓰였다. 이 말이 널리 사용된 것은 2000년대 초다. 사용자들이 생산자인 동시에 소비자가 되어 콘텐츠를 혁신하는 ‘웹 2.0’이 집단 지성의 전형적 사례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안토니오 네그리와 마이클 하트는 2004년 출간한 에서 ‘떼 지성’이라는 용어로 개념을 확장했다. “분산된 네트워크는 떼를 이뤄 적을 공격한다. 무수한 독립적 힘들이 모든 방향에서 특정 지점을 가격하고 주위 환경 속으로 다시 사라(진다). … 네트워크는 명령을 내리는 중심이 없다. … 하지만 그것은 실제로는 조직적이고 합리적이며 창의적이(다). 네트워크는 떼 지성을 지니고..
'루비콘 강을 건넜다' - '주사위는 던져졌다' 카이사르 석상 루비콘강이란 이탈리아 북동부를 동류(東流)하여 아드리아해(海)에 흘러들어가는 작은 강을 말합니다. 이강이 역사적 의미를 갖게 된 것은 다음과 같은 사연이 있습니다. BC 220년경로마시대의 역사 일화입니다. 당시 로마의 카이사르는 크랏수스, 폼페이우스와 더불어 소위 삼두 정치를 편 인물입니다 삼두 정치란 세 사람이 공동의 지위와 함께 나라를 다스리는 것을 말 하는데 철저히 원로원을 배척했기 때문에 일종의 독재 정치나 다름이 없었습니다 .단 한사람이 아닌 세사람이라는 것이 다를 뿐! 카이사르는 집정관의 임기가 끝나자 갈리아 원정에 나서는데 (원정이 성공하게 되면 시민의 지지를 한 몸에 받을 수 있을 테니까) 카이사르가 정복 전을 벌이고 있는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