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수동태 썸네일형 리스트형 수동태 번역 영어의 수동태 구조를 비롯해 영어의 수동태를 한국어로 번역하는 방법은 간단히 요약해본다. 번역을 하면서 가장 기본적이면서 놓치기 쉬운, 그리고 가장 고민하게 되는 수동태 처리에 관한 내용이므로 눈여겨 봐야 한다. 1. 한국어에서는 영어에 비해 수동태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영어에서 수동태를 사용하는 사용하는 이유와 텍스트의 기능을 정리해본다. *영어의 수동태 번역 요령* 1. 능동형으로 번역한다. 2. 주어와 동작주를 바꾼다. 3. 조사 '은/는'을 활용한다. 4. 피해와 수익을 표현하는 경우는 그대로 수동형으로 번역한다. 2. 인간의 의사전달구조는 선형적으로 이루어진다. 의사전달이 주로 이루어지는 문장에서도 그와 마찬가지이며 개별 문장의 의미는 앞서 나온 문맥과 연결이 되어야 한다. 1) 문장에서 정..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