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번역의 세계/아름다운 우리말

문장부호 사용

적절한 문장 부호 사용법

 ♣ 문장 부호 [마침표 - 온점(.)]   

마침표(.)는 다음의 경우에 사용됩니다.

(1) 서술, 명령, 청유 등을 나타내는 문장의 끝에 씁니다.
     -
젊은이는 나라의 기둥이다.
     -
황금 보기를 돌같이 하라.
     -
학교로 돌아가자.

☞ 다만, 표제어나 표어에는 쓰지 않습니다.
     
표제어 - 압록강은 흐른다
     
표어 - 꺼진 불도 다시 보자

 (2) 아라비아 숫자만으로 연월일을 표시할 때에 씁니다.
     1997. 8. 5. (1997년 8월 5일)

 (3) 표시 문자 다음에 씁니다.
     
1. 느낌표    ㄱ. 표준어    가. 지명

 (4) 준말을 나타내는 데 사용합니다.
      
. 1997. 8. 5. (서기 1997년 8월 5일)    Mr.    No.

 (5) 본문과 괄호 안의 문장이 겹칠 때에는 다음과 같이 합니다.
      -
우리는 임금 인상을 요구한다.(지난 5년 동안 회사는 임금동결로 일관했다.)
      -
그 과학자는 모든 것(동물이나 식물까지도 포함한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6) 짧은 글월이 여러 개 겹쳐 있을 때에는

     마지막 이외의 글월 끝에 마침표 대신 쉼표를 칩니다.
     -
간다, 간다, 나는 간다.

☞ 온점(.), 고리점(。 )
    
가로쓰기에는 온점, 세로쓰기에는 고리점을 씁니다.
 

 ♣ 문장 부호 [마침표(終止符) - 물음표(?)]

마침표(終止符) - 물음표(?)는 의심이나 물음을 나타냅니다.

(1) 직접 질문할 때에 씁니다.
     -
지금 떠나면 몇 시에 도착하니?
     -
성함이 어떻게 되십니까?

 

(2) 반어나 수사 의문을 나타낼 때에 씁니다.
     -
제가 감히 거역할 리가 있습니까?
     -
이게 그 일에 대한 첨부물이냐?
     -
그 사람이 장관이 되면 얼마나 좋을까?

 

(3) 특정한 어구 또는 그 내용에 대하여 의심이나 빈정거림, 비웃음 등을 표시할 때,
     또는 적절한 말을 쓰기 어려운 경우에 소괄호 안에 씁니다.
     -
우리 집 강아지가 가출(?)을 했어요.
     -
그것 참 탁월한(?) 선택이야.

☞ 한 문장에서 몇 개의 선택적인 물음이 겹쳤을 때에는 맨 끝의 물음에만 쓰지만,
    각각 독립된 물음인 경우에는 물음마다 씁니다.
    -
당신은 일본인입니까, 중국인입니까?
    -
너는 언제 왔니? 어디서 왔니? 무엇하러 왔니?

☞ 의문형 어미로 끝나는 문장이라도 의문의 정도가 약할 때에는
    물음표 대신 온점
(또는 고리점)을 쓸 수도 있습니다.
    -
이 일을 도대체 어쩐단 말이냐.
    -
아무도 그 일에 동의하지 않을 거야. 혹 미친 사람이면 모를까.
 

 

♣ 문장 부호 [마침표(終止符) - 느낌표(!)]   

마침표(終止符) - 느낌표(!)는

감탄이나 놀람, 부르짖음, 명령 등 강한 느낌을 나타냅니다.

(1) 느낌을 힘차게 나타내기 위해 감탄사나 감탄형 종결 어미 다음에 씁니다.
      -
!
      -
, 달이 밝구나!

 

(2) 강한 명령문 또는 청유문에 씁니다.
     -
지금 바로 대답해!
     -
부디 운전조심하도록!

 

(3) 감정을 넣어 다른 사람을 부르거나 대답할 때에 씁니다.
     -
춘향아!
     -
, 도련님!

 (4) 물음의 말로써 놀람이나 항의의 뜻을 나타내는 경우에 씁니다.
      -
이게 누구야!
      -
내가 왜 나빠!

 

☞ 감탄형 어미로 끝나는 문장이라도

     감탄의 정도가 약할 때에는 느낌표 대신 온점을 쓸 수도 있습니다.
     -
개구리가 나온 것을 보니, 봄이 오긴 왔구나.
 
 

♣ 문장 부호 [쉼표(休止符) - 반점(,) (1)]  

쉼표(休止符) - 반점(,)은 문장 안에서 짧은 휴지를 나타냅니다.

(1) 같은 자격의 어구가 열거될 때에 씁니다.
      - 충청도의 계룡산, 전라도의 내장산, 강원도의 설악산은 모두 국립 공원이다.

☞ 다만, 조사로 연결될 때에는 쓰지 않습니다.
    - 매화와 난초와 국화와 대나무를 사군자라고 한다.

 (2) 짝을 지어 구별할 필요가 있을 때에 씁니다.
     -
닭과 지네, 개와 고양이는 상극이다.

 (3) 바로 다음의 말을 꾸미지 않을 때에 씁니다.
     -
슬픈 사연을 간직한, 경주 불국사의 무영탑

 (4) 대등하거나 종속적인 절이 이어질 때에 절 사이에 씁니다.
     -
콩 심으면 콩 나고, 팥 심으면 팥 난다.

 (5) 부르는 말이나 대답하는 말 뒤에 씁니다.
     -
얘야, 이리 오너라.    예, 지금 가겠습니다.

 

(6) 제시어 다음에 씁니다.
    - 
용기, 이것이야말로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젊은이의 자산이다.

 

(7) 도치된 문장에 씁니다.
     -
이리로 오십시오, 사장님.

 

(8) 가벼운 감탄을 나타내는 말 뒤에 씁니다.
     -
, 그것이 있었구나.
 

 

♣ 문장 부호 [쉼표(休止符) - 반점(,) (2)]   

쉼표(休止符) - 반점(,)은 문장 안에서 짧은 휴지를 나타냅니다.

(1) 문장 첫머리의 접속이나 연결을 나타내는 말 다음에 씁니다.
     -
첫째, 몸이 튼튼해야 무엇이든 할 수 있다.
☞ 다만, 일반적으로 쓰이는 접속어(그러나, 그러므로, 그리고, 그런데 등) 뒤에는 쓰지 않음을 원칙으로 합니다.

 

(2) 문장 중간에 끼여든 구절 앞뒤에 씁니다.
     -
나는, 솔직히 말하면, 그 일이 별로 탐탁하지 않다.

 

(3) 되풀이를 피하기 위하여 한 부분을 줄일 때에 씁니다.
     -
여름에는 바다에서, 겨울에는 산에서 휴가를 즐겼다.

 

(4) 문맥상 끊어 읽어야 할 곳에 씁니다. 
     -
철수가 울면서, 떠나는 영희를 배웅했다.
     -
철수가, 울면서 떠나는 영희를 배웅했다.

 

(5) 숫자와 수의 자릿점을 나열할 때에 씁니다.
      -
1, 2, 3, 4, 5,……    1, 234, 567

 

(6) 수의 폭이나 개략의 수를 나타낼 때에 씁니다.
      -
7, 8세기    5, 6개

 

 

♣ 문장 부호 [쉼표(休止符) - 가운뎃점(·)]   

쉼표(休止符) - 가운뎃점(·)은

열거된 여러 단위가 대등하거나 밀접한 관계임을 나타냅니다.

(1) 쉼표로 열거된 어구가 다시 여러 단위로 나누어질 때에 씁니다.
     -
시장에 가서 사과·배·감, 마늘·양파·고추, 조기·명태·고등어를 샀다.

 

(2) 특정한 의미를 가지는 날을 나타내는 숫자에 씁니다.
     -
3·1운동    8·15광복

 

(3) 같은 계열의 단어 사이에 씁니다.
    -
동사·형용사를 합하여 용언이라고 한다.


 

♣ 문장 부호 [쉼표(休止符) - 쌍점(:) ]  

쉼표(休止符) - 쌍점(:)은 다음의 경우에 사용됩니다.

(1) 내포되는 종류를 들 때에 씁니다.
     -
문방사우 : 붓, 먹, 벼루, 종이

 

(2) 소표제 뒤에 간단한 설명이 붙을 때에 씁니다.
     -
일시 : 1997년 8월 5일 오전 10시

 

(3) 저자명 다음에 저서명을 적을 때에 씁니다.
     -
정약용 : 목민심서, 경세유표

 

(4) 시(時)와 분(分), 장(章)과 절(節) 등을 구별할 때나, 둘 이상을 대비할 때에 씁니다.
     -
오전 10 : 30 (오전 10시 30분), 

       요한 3 : 16 (요한복음 3장 16절),  대비 55 : 65 (55 대 65)


 

♣ 문장 부호 [쉼표(休止符) - 빗금(/) ]   

쉼표(休止符) - 빗금(/)은 다음의 경우에 사용됩니다.

(1) 대응, 대립되거나 대등한 것을 함께 보이는 단어와 구, 절 사이에 씁니다.
     -
남궁진 / 남궁 진    백칠십육 원 / 176원    착한 사람 / 악한 사람

 

(2) 분수를 나타낼 때에 쓰기도 합니다.
     -
2 / 4 분기    4 / 5  
 

 

♣ 문장 부호 [따옴표(引用符) - 큰따옴표(" ")]   

따옴표(引用符) - 큰따옴표(" ")는 대화, 인용, 특별 어구 따위를 나타냅니다.

(1) 글 가운데서 직접 대화를 표시할 때에 씁니다.
     -
"박물관에 간 적이 있니?"    "응, 지난 겨울 방학 때 갔었어."

 

(2) 남의 말을 인용할 경우에 씁니다.
     -"사람은 사회적 동물이다."라고 말한 학자가 있다.

☞ 가로쓰기에는 큰따옴표(" "), 세로쓰기에는 겹낫표(『 )) 를 씁니다.
 

 

♣ 문장 부호 [따옴표(引用符) - 작은따옴표(' ')]  

따옴표(引用符) - 작은따옴표(' ')는 다음의 경우에 사용됩니다.

(1) 따온 말 가운데 다시 따온 말이 들어 있을 때에 씁니다.
     - "여러분!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다.'는 말을 잊지 마십시오."

 

(2) 마음 속으로 한 말을 적을 때에 씁니다.
     - '만약 내가 미국으로 간다면 모두들 깜짝 놀라겠지.'

☞ 문장에서 중요한 부분을 두드러지게 하기 위해 쓰기도 합니다.
    -
'배부른 돼지'보다는 '배고픈 소크라테스'가 되겠다.
☞ 가로쓰기에는 작은따옴표(' '), 세로쓰기에는 낫표(「 )) 를 씁니다.  
 

 

♣ 문장 부호 [묶음표(括弧符) - 소괄호(( ))]  

묶음표(括弧符) - 소괄호(( ))는 다음의 경우에 사용됩니다.

(1) 원어, 연대, 주석, 설명 등을 넣을 때에 씁니다.
     -
커피(coffee)는 기호 식품이다.
     -
3·1운동(1919) 당시 나는 15세였다.
     -
「무정(無情)」은 춘원(6·25때 납북)의 작품이다.
     -
니체(독일의 철학자)는 이렇게 말했다.

 

(2) 특히 기호 또는 기호 구실을 하는 문자, 단어, 구에 씁니다.
     -
(1) 서술어     (ㄱ) 동사    (가) 음성에 관한 것

 

(3) 빈자리임을 나타낼 때에 씁니다.
     -
우리 나라의 수도는 (    )이다.  
 

 

♣ 문장 부호 [묶음표(括弧符) - 중괄호({ })]   

묶음표(括弧符) - 중괄호({ })는 여러 단위를 동등하게 묶어서 보일 때에 씁니다.

    - 주격 조사 { 이 }
                      { 가 }
 

 

 ♣ 문장 부호 [묶음표(括弧符) - 대괄호(〔 〕)]   

묶음표(括弧符) - 대괄호(〔 〕)는 다음의 경우에 사용됩니다.

(1) 묶음표 안의 말이 바깥 말과 음이 다를 때에 씁니다.
      -
나이〔年歲〕    낱말〔單語〕    손발〔手足〕

 

(2) 묶음표 안에 또 묶음표가 있을 때에 씁니다.
     -
명령의 불확실〔단호(斷乎)하지 못함〕은

        복종의 불확실〔모호(模糊)함〕을 낳는다.  
 

 

♣ 문장 부호 [묶음표(括弧符) - 꺽쇠(「 」)]   

묶음표(括弧符) - 꺽쇠(「 ))는 가로쓰기 조판에서 주로 책이름을 표시할 때에 씁니다.  
 

 

♣ 문장 부호 [이음표(連結符) - 줄표(-)]   

  이음표(連結符) - 줄표(-)는

이미 말한 내용을 다른 말로 부연하거나 보충함을 나타냅니다.

(1) 문장 중간에 앞의 내용을 다른 말로 부연하거나 보충함을 나타냅니다. 
   *
그 애는 네 살에-보통 아이 같으면 한글도 모를 나이에-벌써 시를 지었다.

 

(2) 앞의 말을 정정 또는 변명하는 말이 이어질 때에 씁니다.
   *
어머님께 말했다가-아니, 말씀드렸다가-꾸중만 들었다.
   *
이건 내 것이니까-아니, 내가 처음 발견한 것이니까-절대로 양보할 수가 없습니다.
 

 

 

♣ 문장 부호 [이음표(連結符) - 붙임표(­)]  

이음표(連結符) - 붙임표(­)는 다음의 경우에 사용됩니다.

(1) 사전, 논문 등에서 합성어를 나타낼 때에, 또는 접사나 어미임을 나타낼 때에 씁니다.
      *
겨울­나그네    불­구경    손­발    휘­날리다    슬기­롭다    ­(으)ㄹ걸

 

(2) 외래어와 고유어 또는 한자어가 결합되는 경우를 보일 때에 씁니다.
      *
나일론­실    디­장조    빛­에너지    염화­칼륨

 

(3) 문장의 한 성분이 동등한 두 개 이상의 단위로 구성되었을 때 그 사이에 씁니다.
     *
그것은 경험­분석적인 제 과학의 결과로 생긴 이론이다.  
 

 

♣ 문장 부호 [이음표(連結符) - 물결표(∼)]   

이음표(連結符) - 물결표(∼)는 다음의 경우에 사용됩니다.

(1) '내지'라는 뜻에 씁니다.
      9월 15일 ∼ 9월 25일

 

(2) 어떤 말의 앞이나 뒤에 들어갈 말 대신 씁니다.
      
새마을 : ∼운동    ∼노래
      
-가(家) : 음악∼    미술∼  
 

 

♣ 문장 부호 [드러냄표(顯在符) - 드러냄표(˙˙˙)]   

 드러냄표(顯在符) - 드러냄표(˙˙˙)는 문장 내용 중에서 주의가 미쳐야 할 곳이나
중요한 부분을 특별히 드러내 보일 때에 씁니다.

(1) '내지'라는 뜻에 씁니다.
     
                            .   .    .   .
     한글의 본 이름은
  훈 민 정 음 이다.
                           .   .   .    .                  .   .   .     .   .   .
     
중요한 것은   왜 사 느 냐 가 아니라  어 떻 게  사 느 냐 이다.

☞ 드러냄표 대신 밑줄(    )을 치기도 합니다.
    
다음 보기에서 (동사)가 아닌 것은?  
 

 

♣ 문장 부호 [안드러냄표(潛在符) - 숨김표(××, OO)]   

안드러냄표(潛在符) - 숨김표(××, OO)는

알면서도 고의로 드러내지 않음을 나타냅니다.

(1) 금기어나 비속어의 경우, 그 글자의 수효만큼 씁니다.
     -
배운 사람 입에서 어찌 OOO란 말이 나올 수 있느냐?/
     -
그 말을 듣는 순간 ×××란 말이 목구멍까지 치밀었다.

 

(2) 비밀을 유지할 사항일 경우, 그 글자의 수효만큼 씁니다.
     -
육군 OO부대 OOO명이 작전에 참가하였다.
     -
그 모임의 참석자는 김××씨, 정××씨 등 5명이었다.  
 

 

♣ 문장 부호 [안드러냄표(潛在符) - 빠짐표(□)]   

안드러냄표(潛在符) - 빠짐표(□)는 글자의 자리를 비워 둠을 나타냅니다.

(1) 옛 비문이나 서적 등에서 글자가 분명하지 않을 때에 그 글자의 수효만큼 씁니다.
     -
大師爲法主□□賴之大□ (옛 비문)

 

(2) 글자가 들어가야 할 자리를 나타낼 때에 씁니다.
     -
훈민정음의 초성 중에서 아음(牙音)은 □□□의 석 자다.  
 

 

♣ 문장 부호 [안드러냄표(潛在符) - 줄임표(……) ]

안드러냄표(潛在符) - 줄임표(……) 는 다음의 경우에 사용됩니다.

(1) 할 말을 줄였을 때에 씁니다.
      - "어디 나하고 한 번……." 하고 철수가 나섰다.

 

(2) 말이 없음을 나타낼 때에 씁니다.
      - "빨리 말해!"
      -  
"……."


'번역의 세계 > 아름다운 우리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사 제대로 쓰기  (0) 2009.04.21
쇠고기, 소고기  (0) 2009.04.08